[이런 특강이에요]
•
TSDB의 이론과 실전 선정 및 도입 과정을 다룹니다.
•
Prometheus Longterm storage로 사용할 수 있는 VictoriaMetrics를 다룹니다.
[이런 분이 특강을 들으면 좋겠어요]
•
대용량 분산 시스템의 장애 관제와 신뢰성 유지 방법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
•
대용량 시스템 및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
네이버 검색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시계열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.
네이버의 검색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서 수집 및 저장 해야하는 데이터도 함께 증가했습니다.
기존 구조에 한계를 느껴 대용량 시계열 데이터에 대응하기 위해 10년 이상 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선하고 RDB → 시계열 DB 전환 경험을 공유합니다.
기존 RDB 구조에서 가지고 있었던 한계점과 시계열 DB를 도입하게된 과정, 시계열 DB가 도입되며 개선된 구조와 얻게된 이점, 그리고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.
[특강 목차]
1.
모니터링 시스템 소개 및 기존 구조의 한계
•
네이버 검색 모니터링 시스템 소개
•
네이버 검색 모니터링 시스템이 걸어온 일
•
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와 한계
2.
통합 저장소 구축을 위한 TSDB 선정 과정
•
TSDB 선정 과정
•
TSDB 도입 과정
•
TSDB 도입 후 저장구조 소개
3.
통합 저장소를 사용한 신규 모니터링 시스템 소개
•
신규 모니터링 시스템 구조 소개
•
신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개선된 점
4.
Querying Tips
•
Queying에 대한 tip 소개
5.
마무리